pH조정시설
○개요
1)pH 조정시설은 원수의 pH를 조절하여 원수의 pH를 산성~중성~알칼리성으로 조절하여
후속공정의 처리 효율 제고 목적으로함
2)산제(CO₂, H2SO4), 알칼리제(소석회, NaOH)
○pH조절제 종류 및 특징
구분
|
종류
|
주입방식
|
장점
|
단점
|
산제
|
CO2
|
탄산수 주입
액화가스 주입
|
경제적, 간편 주입
|
고압 위험
|
H2SO4
|
농도 98% 80~100배 희석 사용
|
효과적, 신속한 pH 조절
|
유해화학물질(10%~)
|
|
알칼리제
|
CaO
|
건식, 습식
|
경제적, 간편 주입
|
취급곤란(분말)
완속여과지 모래와 부착
|
NaOH
|
건식, 습식
20~25배 희석 사용
|
효과적, 신속한 pH조절, 슬러지 발생 적음
|
유해화학물질(5%~)
|


○수처리에서 pH의 활용
1)질산화 : 1g NH4 질산화시 7.2g alk 소모로 알칼리제 보충 필요
2)탈질 : 1g NO3 탈질시 3.6g alk 회복으로 pH상승
3)혐기성소화 : pH 6.5이하시 효율 저하
4)응집 : 각 응집제별 적정 pH범위 조절 필요, 등전점
5)먹는물 : 5.8~8.6
6하폐수처리 : 5.8~8.6

○고려사항
1) pH조정제의 종류는 원수수질에 따라 응집효과를 높이는데 적절하고 또, 위생적으로 지장이 없는 약품이어 야 한다.
(2) 주입량은 다음 각 호의 정하는 바에 따른다.
① 주입률은 원수의 알칼리도 및 pH 응집제 주입률 등을 참고로 하여 정한다.
② pH조정제를 용해 또는 희석하여 사용할 때의 농도는 주입량이 적절하고 취급이 용이하도록 정한다.
③ 주입량은 처리수량과 주입률로 산출한다.
(3) 주입지점은 응집제주입지점의 상류측이 일반적이며 혼화가 잘 되는 장소로 한다.
정수처리공정에서는 응집제나 액화염소 사용으로 인해 정수의 pH가 낮아지고 부식성이 강해진다
상수원에서는 . 조류발생 오염물질 , 유입으로 pH가 8 이상으로 높아질 경우 정수처리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pH가 낮은 경우 물의 부식성이 강해져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모르타르 라이닝관을 열화
시키며 아연도금강관 동관 납관에서는 아연 동 납을 용출시키고 철관에서는 철을 용출시켜 녹물의 원인이 되는 등 수도시설에서 여러 장애를 일으킨다
또한 pH가 높은 경우 탁도 제거효율 저하, 송배수 과정에서 소독부산물 증가 및 용존성 알루미늄의 재응집으로 인해 탁도가 상승할 수 있다.
○약품에 따른 알칼리도 증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