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수 24

[TMS]

[TMS]​​○TMS의 목적수질원격감시체계 TMS란 Tele monitoring system의 약자로 공공하수처리시설, 폐수처리업소등의 방류수를 실시간, 24시간 관리하는 감시체계이다. 과거 TMS 시스템 구축전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부족, 지도단속의 한계등으로 공공수역으로 무단 방류를 하거나 오염사고 발생시 미신고 및 자체처리등의 환경오염행위들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각 사업소 별로 무단 방류, 수질오염사고등을 단속하기위해 공무원이 직접 방문, 불시단속으로 관리를 해왔으나 인력의 한계, 자원의 한계, 관리부족등으로 빈틈이 생겨 보다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관리를 위해 수질원격감시체계를 도입하게되었다. 2004년 TMS관리계획수립을 시작으로 현재 일정규모이상의 사업소에는 물환경보전법에 의거 TMS를 의무설치..

하수/TMS 2024.10.19

[기존하수처리시설 고도화]

[기존하수처리시설 고도화]​[125회차 3교시] 기존 하수처리시설에 추가로 고도처리시설 설치 시 사업추진 방식과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개요1) 4대강 사업으로 수계지역내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2) 현재 운영중이거나 증설중인 하수처리장중에서 처리수질이 강화된 법적 기준을 준수하기 어려운 실정.3) 방류수 수질 기준 강화시점을 감안하여 고도처리시설 설치사업 추진.​2. 기존 하수처리시설에 고도처리 설치시 사업추진 방식 1) 운전개선방식(Renovation) : 기존처리공법 유지 또는 수정분석결과 시설이 양호하여 운전방식개선 및 일부 시설 개선으로 기준 준수가 가능한 경우 2) 시설개량방식(Retrofitting) : 기존 처리공법 변경 운전방식변경, 일부시설개선으로 수질기준 준수가 어..

[생물학적 질소제거]

[생물학적 질소제거]​​개요1) 질소제거의 필요성 : 부영양화 방지, 청색증 방지 등 2) 하수 중의 질소형태 : NH4^-N, 유기성질소 > TKN형태 3) 생물학적 질소 원리 : NH4^+ > 질산화 > NO3, NO2 > N2 2. 생물학적 질소제거 원리  1) 질산화 (1) 1g NH4^+-N 산화시 4.6g의 산소 및 7.2g 알칼리도 소모, 0.15g 세포합성(2) 질산화 미생물 특징 -독립영양미생물 : 질산화과정에서 에너지 획득-무기탄소원(CO2, HCO3^-, CO3^2-)로부터 유기물 합성 -비증식속도가 느림 : SRT 길게 유지 필요 -저수온 영향 큼 : 10도 이하에서 질산화 속도 1/2 저하(3) 일반 적으로 활성슬러지의 경우 pH5~5.5일 때 질산화는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으며,..

[활성슬러지법]

[활성슬러지법]​○기출문제슬러지 반송이 있는 연속류식 완전혼합형 활성슬러지법의 유기물 제거 원리 biosorption생흡착(biosorption)생물학적 처리 시 생물반응조 설계 절차와설계인자 ​​​개요 1) 활성슬러지법은 용해성 유기물, 콜로이드 및 부유물질을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흡착, 산화, 동화 시켜 분해 제거하는 생물학적 처리방법2) 하수에 공기를 주입하고 교반 시 미생물이 하수 중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증식하여 floc형성함 > 활성슬러지3) 활성슬러지는 산소와 함께 혼합하면 하수중의 유기물은 활성슬러지에 흡착되어, 미생물의 대사기능에 따라 산화 또는 동화됨 ​1kg의 C5H7O2N을 합성하 기 위해서는 0.12kg의 질소와 0.025kg의 인이 소비됨 (100:5:1)CHON(유기물) + O2..

[A/O, A2O]

[A/O]​○기출문제-A/O공법과 A2O공법의 처리 개요 장단점 차이점 설명 -하·폐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법 및 장치가 많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인데, A2O(Anaerobic-Anoxic-Oxic)로 운영되는 생물반응조내에서의 운영비저감 기법과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A2O로 운전되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총인 농도를 0.05mg/L 이하로 처리하고자 할때 그 처리방안을 설명하시오 -A/O 공법과A2O 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A2/O의 개요ㆍ공정도 및각 공정에서의미생물역할-A/O공법 및 A2/O공법에 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1) 각 공법의 원리 및 특징2) 각 공법의 설계인자 및 장·단점​ *TIP1) 생물학적 인제거 공법 중 가장 대표적인 AO, A2O공법은 외부반송 슬..

[생물막법]

[생물막법]​○기출문제-생물막법(生物膜法,biomembrane)의 기본원리및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생물막법(生物膜法,biomembrane)의 기본원리 및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개요 생물막법이란 생물학처리의 일종으로 미생물은 매체에 부착되어 서식하면서 오염물질과 접촉 및 반응하며 생물막 표면에서는 호기성처리, 내부에서는 혐기성처리가 가능하다. 부착미생물은 담체 표면에서 성장하며 유입원수와 반응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유입하수내 유기물에 의해 미생물이 증식하여 생물종이 다양하여 처리효율이 높고 슬러지 발생량이 적은것이 특징이다. 생물막법의 종류로는 살수여상법, 회전원판법(RBC), 호기성 여상법(BAF), 접촉산화법이 있다. ​2. 기본원리 1) 생물막에서 물질이동 유입 하폐수 내의..

[Annammox]

[Anammox]​○기출문제-아나목스 공정-아나목스 원리, 반응식, 장단점, 적용가능 하폐수 -아질산화,아탈질 공정과 혐기성암모늄산화공정(Sharon-anammox) 질살화, 탈질공정 비교 설명 -생물학적 탈질 시 아질산성질소까지만 질산화 시킨 후 이를 환원시키는것이 유리한 이유, 불완전 질산화 유도방법, 아나목스 공정설명 ​ANAMMOX 공정​1. ANAMMOX 공정 개요 고도 산업 개발에 따라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에너지의 과도한 사용을 지양하고자 에너지자립화 정책을 시행하였고 여러 산업체에서 에너지자립화에 따라 에너지 절감에 애쓰고 있다. 하지만 일부 식품폐수, 분뇨처리수, 유기성폐기물을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는등의 산업군에서는 공정과정에서 어쩔수 없이 고농도의 질소가 발생하는데 이를 처리하기위해 막대한..

[SBR]

[SBR]​○기출문제 소규모 하수처리시설의 계획 및 공정선정 시 고려사항, 소뮤 하수처리시설에 적합한 공법 소규모 하수처리장 건설 및 유지관리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대표적인 적용공법 3가지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및 개인 하수처리시설 문제점 개선방안 소규모 하수처리시설 공법 1개와 그 특성 ​SBR은 기출문제가 죄다 소규모하수처리시설과 연계되어 나오는것 같다. SBR 자체를 묻는 문제보다는 소규모 처리시설의 문제점과 적합한 공법등으로 연관지어 풀어내야 될듯하다. ​​개요SBR이란 회분식 활성슬러지법으로 한개의 단일 반응조에서 시간차를두고 혐기,무산소, 폭기등의 과정을 진행시킬수 있는 시간적 개념의 고도처리공법이다. ​연속회분식활성슬러지법 1) 원리 연속회분식(sequencing batch)활성슬러지법은 [그..

[phostrip]

[phostrip]반송슬러지 탈인제거 공정 반송슬러지 탈인제거공정은 반송슬러지의 일부만이 포기조로 유입되고, 분리된 단위 공정에 의해 생 물학적 탈인조에서 슬러지의 인을 방출시킨 후 그 상징액을 화학적인 방법으로 침전시켜 제거한다. ​이 공정은 비교적 유입수의 유기물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인을 과잉으로 함유하여 잉여슬러지로 배출하는 혐기호기조합법에 비해 슬러지의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석회주입량은 알루미늄이나 금속염 과 달리 알칼리도에 의하여 결정되고 탈인조 상징액이 총유입수량에 비하여 아주 적으므로 인을 침전 시키기 위하여 소요되는 석회의 양이 순수화학처리방법보다 적게 된다

[5단계 Bardenpho 공법]

[5단계 Bardenpho 공법]​​∙Bardenpho 공법은 혐기-무산소-호기-무산소-호기조로 구성되어 있음 ∙전단의 혐기-무산소-호기는 질소, 인 및 유기물을 제거∙2번째 무산소조에서는 내생탈질과정을 통하여 미처리된 질산성질소를 제거∙마지막 호기성 단계에서는 폐수내 잔류 질소가스를 제거하고 최종 침전지에서 인의 용출을 방지설계인자∙HRT : 10~24시간(혐기성조 : 1.0~2.0시간, 무산소조 : 2.0~4.0시간, 호기성조 : 4.0~12.0시간, 무산소조-2 : 2.0~4.0시간, 호기성조-2 : 0.5~1.0시간)∙SRT : 10~40일∙F/M 비 : 0.1~0.2kgBOD/MLSS/d∙MLSS : 2,000~4,000mg/L ∙BOD / TN 비 : 7~10 이상∙슬러지반송율(RAS) :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