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 및 제도/에너지 자립화

[에너지 자립화]

studyordeath 2024. 10. 22. 11:37
반응형

[에너지 자립화]

[125회차 3교시] 공공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기술, 사례, 사업추진 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하수처리시설의 높은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대책 마련 필요

2) 하수처리시설은 하수의 수집, 처리과정에서 다량의 에너지 소비

3) 기존 사업시 시설확충과 처리효율을 높이기위한 신기술 도입에 집중하였으나 에너지 효율성 고려는 미흡

4) 에너지 다소비 시설에서 재생산 시설로의 패러다임 전환 필요

5) 하수처리시설을 저탄소, 녹색성장의 성장동력으로 활용

 

출처 환경부

2. 에너지 자립화 관련 정책

1) 국가하수도종합계획

에너지 자립화 기반구축, 부생가스 자원화 및 하수찌꺼기 이용 에너지화 확대 도입등을 통합 에너지 자립화 추진

2) 폐기물에너지화 종합대책

신고유가 시대 도래, 온실가스 감축의무 가시화, 폐기물 해양배출기준 강화등에 따른 폐기물의 에너지화율 제고

3) 하수처리시설 에너지자립화 기본계획

녹색기술 적용, 에너지 사용량 저감, 신재생에너지 생산 등 에너지 자립화 촉진

4) 환경기초시설 탄소중립프로그램

하수처리장, 정수장, 매립장등의 유휴부지에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생산하여 탄소중립 달성 목표 설정

5) 2030 바이오 가스 생산 활용 중장기계획 수립

하수찌꺼지로 바이오가스를 생산 활용하여 찌꺼기 감량화 및 에너지 사용량을 감축

6)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업체에서 배출한 온실가스와 소비에너지가 기준이상인 업체를 대상으로 목표설정 및 온실가스 에너지 절약 유도

7) 배출권거래제

기업에게 배출권을 할당하고 기업은 할당받은 배출권 범위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제도

3. 에너지 자립화 사례

국내사례

1) ESCO 사업

WASCO와 같은 개념으로 기존의 에너지사용 기기를 교효율 절감기기로 교체하여 에너지를 절감 및 일정기간동안 선투자한 기업에서 절감금액을 사업비로 회수, 이후 사용자는 절감된 에너지로 사용.

2) 공정 및 기계 설비 개선

(1) 소화가스 발전설비 설치

(2) 하수찌꺼지 소각개선으로 에너지자립율 증가

(3) 에너지 저감형 송풍기 교체

3) 재생에너지 사용

(1) 방류수를 활용한 소수력발전으로 전기생산

(2) 태양광 발전시설을 통해 전기생산하여 한전으로 판매

국외사례

1) 미국 (EPA : Energy Star Program)

에너지효율성 향상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에너지소비 분석결과를 토대로 신규 시스템, 고효율 기자재등 설치

2) EU (Enerwater 프로젝트)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에너지 데이터 기록 장치를 설치하여 공정 단계별 에너지 효율성 모니터링

3) 일본 (Smart plan 2014)

하수도 시설의 총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신재생 에너지 비유 및 에너지 절감 비율을 '24년도까지 20%이상 확대 목표

4. 문제점

1) 하수처리장 에너지관리 성과 저조

에너지관리 책무 또는 인센티브 없이 지자체 업체의 자발적 노력에 의존

2) 하수처리장 에너지 평가 환류체계 미흡

하수도법에 의한 하수도 운영관리 실태 점검 (환경부 > 지자체)등을 통하여 에너지 분야를 평가하고 있으나 유사 시설과의 상대적 평가분석이 없고 배점도 낮아 에너지 절감 유인 미흡

3)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최적관리 미흡

바이오가스 생산, 탄소중립 프로그램,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등 다양한 에너지저감 프로그램이 운영되나 처리장별 맞춤형 최적 관리 체계의 부족

5. 개선방안

1) 하수처리장 운영관리자가 에너지 생산 소비량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하도록 규정

2) 에너지진단 대상에서 제외된 하수처리시설(에너지사용량 2,000toe미만)에 대해서도 에너지 관리 강화

3) 기술진단제도에 에너지 전문가를 참여시켜 진단결과를 토대로 에너지 개선방안 제시

4) 하수도 운영관리 실태점검시 에너지 효율 개선 비중을 강화하여 지자체의 관심과 노력을 유도

5) 공공하수도시설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경우 절감액의 일부를 인센티브로 제공

6) 중장기 에너지 자립 목표 재설정 및 중장기 계획 수립

7) 에너지 자립 성공모델 확산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8) 하수처리장에서의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태양광, 풍력 발전설비 등)

9) 하수처리시설 효율적 에너지 관리 기술 개발 보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