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요
1)유수율 : 국내 전국 평균 유수율 약 86% (주된 원인은 누수율)
2)노후된 상수도관의 급격한 증가로 단계적 정비 필요
3)누수는 관의 노후화, 파손등으로 발생
4)유수율 제고를 위해 배급수 블록화 및 단계적 정비 필요
2. 유수율 개념
생산량
|
유효수량
|
유효유수수량
|
요금발생 수량
|
유효무수수량
|
계량기 불감수량
정수장 사용량
소방용수 사용량
부정사용량
|
||
무효수량
|
누수량, 인정오차량, 감액수량
|
1)유효수량 : 유효유수수량+유효무수수량
1-1) 유수율 : 유수수량/생산량*100
2)무효수량 : 유효무수수량+무효수량
2-1)무수율 : 100-유수율%
3.누수평가지표 ILI
ILI = CARL / UARL
1)CARL : 연간 실손실량
2)UARL : 허용실손실량
4.누수 원인
1)관 노후화
2)관 부식(외면, 내면)
3)설계, 시공 불량
5.유수율 증대 방안
1)노후관 정비
2)계량기 교체
3)기술진단(일반,전문)
4)부정사용방지
5)최적관리시스템 구축 : 블록시스템 구축, 정비, 개량
6)수지상식 → 격자식 변경
7)부식방지(외면부식, 내면부식)
8)관 파손방지(수격작용 방지, 신축이음 등)
9)관망 수압제어
-압력증가시 누수율 증가, 감가압 밸브 설치로 누수율 저감
-기초자료수집 → 압력측정분석 → PMA구역 설정 → 방안 수립
6.누수량 판단 방법
1)정성적 방법 : 잔류염소, pH, 전기전도도, 수온, 수압등을 이용한 간접 확인
2)정량적 방법 : 직접측정법, 간접측정법
(1)직접측정법 : 측정구역내 급수전 차단 후 측정
(2)간접측정법 : 야간최소유량측정법 = 누수량 + 최소유량
세대별 개량기 Open → 블록경계 제수밸브 Close → 최소유량 측정
(3)사용수량 측정법 : 누수량 = 생산량 - 유효수량
(4)단계시험 : 소블록 내 일정 구간 고립하여 단계별 측정
6.누수량에 따른 조치 방법
측정값(m3/hrㆍkm
|
판정
|
조치내용
|
1.0이하
|
양호
|
작업 불필요, 유지
|
1.1~3.0
|
보통
|
밸브, 관로 누수조사
|
3.1이상
|
불량
|
조사, 원인분석, 교체
|
상수관망 최적관리 시스템 구축 사업
가. 사업목적
① 수돗물 생산 ․ 공급비용 저감을 통한 수도경영 효율화
② 유수율 제고를 통한 수자원 및 에너지 절감
③ 누수 및 수질오염 예방을 통한 수돗물 신뢰도 제고
④ 선(先) 진단 후(後) 개량을 통한 효과적인 관망정비
⑤ 블록시스템 및 유지관리시스템을 통한 관망최적관리체계 구축
⑥ 선제 ․ 예방적 유지관리를 통한 관망기능 및 유수율 유지
나. 사업방향
① 기본계획 수립후 사업 추진
② 관망시스템의 구조적인 문제를 체계적으로 개선
③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인력 ․ 행정 ․ 정보시스템 구축
④ 단계별 사업을 배수계통별 사업우선순위에 따른 블록단위 일괄사업으로 전환
⑤ 합리적인 공사수행을 위한 공사-설계간 연계 강화
다. 지향목표
① 구축사업 및 유지관리를 통해 사업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② 구축사업의 목표는 다음 사항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망도를 정비한다.
㉯ 배수구역 분리, 배수지정비, 송 ․ 배 ․ 급수관로 기능분리, 점검구 설치 등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관망시스템 관리 가 가능하도록 관망체계를 정비한다.
㉰ 무단수(또는 단수최소화) 및 비상시 급수를 통해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도록 관망체계를 구축한다.
㉱ 유지관리시 효율적인 수량, 수질, 수압관리가 가능하도록 배수지별 급수구역을 블록으로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는 블록시스템을 구축한다.
㉲ 유수율 제고를 위한 누수지점 복구뿐만 아니라 문제발생 가능성이 높은 불량관 개량 및 대체를 포함한다.
㉳ 수량, 수질, 수압, 시설물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 ․관리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③ 유지관리의 목표는 다음사항을 기준으로 설정한다.
㉮ 유지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상수도 관망을 유지관리한다.
㉯ 상수도관망 유지관리를 위한 전문적인 조직 및 인력을 확보하여 운영한다.
㉰ 인력변경시 관망자료관리(관망도), 시설유지관리 등에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체계적인 행정절차 및 시스템을 구축한다.
㉱ 민원 발생시 즉각적인 원인분석 및 복구가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 사후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 블록별 유입유량 및 부과량 자료를 활용하여 정기적으로 블록단위 유수율분석 및 검증을 실시한다.
라. 목표연도
① 최종목표연도는 상수도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공사가 기존시설 정비사업임을 고려하여 구축공사 준공시점으로 설정한다.
② 다만 수도정비 기본계획 목표연도 및 유지관리 안정화기간을 고려하여 최종목표연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검토한다.
마. 계획구역
① 시ㆍ군단위 행정구역내 지방상수도 급수구역 및 광역상수도 직접급수구역에 대해 최적관리시스템 구축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급수시설 급수구역은 제외한다.
② 2개 이상의 지방상수도를 통합운영하는 계획이 수립된 경우 에는 필요시 해당 지방상수도 및 지자체간 연결관 로, 관망통합 운영시설, 급수체계조정 등을 포함한다.
③ 수도정비 기본계획에 급수구역 확장이 포함된 경우에는 상수도관망 최적관리시스템 구축에 따른 영향을 검토 하되 급수구역 확장사업은 별도의 사업계획을 수립한 후 추진 하여야 한다.
바. 목표유수율
① 지자체별 목표유수율은 85%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하되 현재 유수율, 지자체 규모, 지형, 면적,
관로연장, 투자비 대비 누수손실비용과의 비교분석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② 블록별, 배수구역별 목표유수율은 각 블록 및 배수구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자체별 목표유슈율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