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유효경, 균등계수, 최소경, 최대경 기준 및 규제이유
○유효경 제한이유
구분
|
조사
|
세사
|
여과방식
|
내부여과 경향
여과수량많음
탁질억류량 많음
|
표면여과 경향
여과수량 적음
탁질 억류량 적음
|
사층두께
|
사층두께 두꺼워야함
|
사층두께 줄일수 있음
|
역세척 동력
|
큼
|
작음
|
문제점
|
Air binding
|
Mud ball
|
○균등계수 제한이유
1)자연상태 모래 균등계수(1.5~3.0) 사용시 → 세밀충전 → 표면여과 → 손실수두 증가 → 여과지속시간 감소
2)균등계수 큰경우 역세척 이후 성층현상 발생
○균등계수와 유효경 관계
균등계수 동일
유효경 큰 경우
|
→
|
여과지속시간 증가
수질불량
|
유효경 동일
균등계수 작은경우
|
→
|
여과지속시간 증가
수질양호
|
○여재의 유효경이 표준치를 넘는 경우
L/De ≥ 800 식 이용
L : 여과층 두께(mm)
De : 여재 유효경
L/De
|
여재 종류
|
1,000
|
모래, 2층 여과
|
1,250
|
3층(안트라사이트, 모래, 가네트)
|
1,250~1,500
|
심층 조립단일여재
|
1,500~2,000
|
입경이 매우 큰 심층 조립단일여재
|
○설계기준
구분
|
정의
|
적정기준
|
규제이유
|
유효경
|
여과사(규사)의 입경을표시하는 단위로서 체분석하여 저체중량의 10% 통과시의 최대입경(D10)
|
0.45 ~ 0.7mm
|
고운모래일수록 여과층의 제거능을 증가하나 폐색되기 쉽고 삭취회수률이 높아 비경제적
|
균등계수
|
여과사 입경분포의 균일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입도가 적곡선의 60%통과 경과10% 통과 경과의 비를 말함
(E = D60/D10)
1에 가까울수록 균등
|
1.7 이하
|
균등계수가 너무 크면 세립자와 조립자의 여재가 치밀한 여과층을 구성하여 높은 저지율을 보이고 손실수두가 커진다.
또한 오사세척으로 작은입자가 유출되어 유효경을 증대시키게된다.
|
최대경
|
입도가 적곡선에서 99% 통과경을 mm로 표시한것
|
2.0mm 이하
|
역세척반복에 따라 표층에는 작은입자, 하층에는 굵은입자가 자리잡게 되는데 유효경과 균등계수만으로는 입도분포중 10% 입경 이하와 60%입경 이상의 분표에 관한
한계가 없어 분급의 경향이
극단적으로 커질수 있어 제한필요
|
최소경
|
입도가 적곡선에서 1% 통과경을 mm로 표시한것
|
0.3mm이상
|
728x90
반응형
'정수 > 여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속여과, 급속여과] (2) | 2024.10.16 |
---|---|
[여과장애] (1) | 2024.10.16 |
[하부집수장치] (0) | 2024.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