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상하수도기술사 111

[수도정비 기본계획]

[수도정비 기본계획]​1.개요1)수도법에 따라 양호한 수질을 안정적인 수량으로 공급하기 위해 계획, 수립하는 수도정비 기본계획2)목적 : 안정적인 수량, 수질 공급과 공중위생 개선, 생활환경 개선3)계획기간 : 10년마다 작성, 5개년마다 타당성 조사4)목표년도 : 20년 (5개년 4단계 수립)​2.기본계획 수립절차1)수립권자(1)일반수도 : 시도지사(2)광역상수도 : 환경부장관2)수립절차환경부장관관계중앙행정기관장 ↑ 승인요청 승인 ↓ ↑ 협의 의견 ↓ 해당도 경유수도정비기본계획 작성(환경부 장관) ↑ 승인요청 승인 ↓ ↑ 협의 의견 ↓ 수도정비기본계획 작성(시도지사)관계 시도지사​3.기본계획 주요내용1)수도정비기본계획(1)총설 : 계획 목적, 범위, 기본방침, 개요 등(2)기초조사 -자연적 조건,..

[교차연결(Cross-connection)]

개요교차연결(Cross-connection)이란 상수관과 하수관은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고 혼합될 일이 없으나 직간접적으로 잘못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진공상태, 역압(Back-pressure), 역사이펀(Back-siphonage)등에 의해 관로 외부의 오염물질이 내부로 혼합되어 오염이 발생하는것을 뜻한다. 교차접속에 의한 사고사례가 굉장히 많이 발생하고 다양하지만 미리 예측하기 힘들고 파악하여도 그 오염범위가 광범위 하다는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bhO2eFHulSk2. 원인1) 역압(Back-pressure)상수관내 압력보다 지하수관내 압력이 높아져 상수관내로 유입되는 형상, 배관 내 2차 압력보다 1차압력이 높아질때 역류현상이 발생한..

[역사이펀(inverted siphon)]

역사이펀(inverted siphon)​개요역사이펀이란 하수관거가 하천, 건축물, 지형, 구조물 등 이설이 불가한 구역에 매설되는경우 구조물 밑으로 횡단하게 되는데 사이펀의 역 모양으로 역사이펀이라고 한다. ​역사이펀은 시공자체가 어렵고 배관의 균열, 파손우려가 있으며 시공후에도 점검 및 수리가 용이하지 않아 불가피한경우를 제외하고는 지양되어야하는 방식이다. ​역사이펀 설치시 유출부보다 유입부의 높이가 높아야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며 침전물에 의해 막힐우려가 있어 주기적인 준설 및 청소가 요구되며 최소관경은 우수관의 경우 300mm이상, 오수관의 경우 200mm이상이어야 한다. ​출처 시설기준2. 역사이펀 설치시 고려사항 1) 역사이펀 설치시에는 장해물의 양측에 수직으로 역사이펀실을 설치하고 역사이펀 관로..

공동현상(Cavitation)

공동현상(Cavitation)1. Cavitation의 개요1)펌프 운전중 일어날 수 있는 비정상 현상으로 펌프 기동시 유체가 흐르면서 흡입압력보다 유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질때 액체가 증발하고 포화증기가 발생하여 펌프 흡입부로 유체가 흡입되지 못하고 기포만 흡입되는 현상이다. 2) NPSHav 3) 펌프 설계시 공동현상 방지 위해 NPSH 검토 필요 출처 네이버임펠라 회전에 따른 기포발생​2. Cavitation의 발생원인1) 흡입배관의 지름이 작을때 2) 유속이 너무 빠를때 3) 펌프 위치가 너무 높을때4) 단흡입펌프 사용시5) 흡입배관의 길이가 너무 길때 6) 흡입양정이 너무 높을 때​3. Cavitation의 발생피해1) 소음, 진동 발생(1)유체내 압력이 낮아지면서 기포가 발생하여 이로인한 소음과..

[조압수조(Surge Tank)]

조압수조(Surge Tank) ​개요조압수조(Surge tank)란 일종의 펌프, 밸브, 배관등의 충격완충시설이다. 펌프 가동 중 전원단절, 펌프의 이상, 펌프off등 예기치못한 상황으로 밸브의 급개폐, 펌프의 급가동,정지시 급격한 유속변화와 압력으로 수격작용(Water hammer)발생하여 압력상승시 펌프, 배관, 밸브등의 충격이 가해져 파손의 우려가 있고 압력저하시 부압발생으로 배관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이때 조압수조의 완충작용으로 밸브,펌프,배관등으로 가해질 충격이 조압수조로 압력이 배출되어 충격을 완화시킨다.​출처 시설기준 표준형 조압수조한 방향형 조압수조압력 상승/부압 감소부압 감소효과적이나 건설비, 설치부지 소요소형, 소유량에 적합동결주의​2. 조압수조의 설치목적 1) 펌프의 급가동, ..

[수격작용(Water hammer)]

수격작용(Water hammer)​1. 정의 수격작용이란 밸브의 급개폐, 펌프의 급정지 기동으로 인해 배관 내 유체의 흐름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발생되는 압력 충격.2. 수격압 계산식△Hmax = av/g a: 압력파 전파속도(m/s)v : 관내 유속(m/s)g : 중력가속도(9.8m/s²)​3. 수격작용의 원인 1) 밸브의 급개폐 : 수격작용중 가장 큰 원인중 하나로 일반적인 원인이다. 2) 펌프의 급 정지기동 : 갑작스런 펌프 트립, 정전등으로 펌프 토출측에 급격한 압력 변화로 인한 수격작용 발생3) 펌프회전수 : 빠른 유속으로 인한 압력 상승 4) 관경 : 관경이 작을수록 배관 내 유속이 빨라지며 압력 상승5) 곡관부 : 곡관부(Elbow)에서 유체 흐름이 급격히 형성되는경우6) 공동현상 : 저온의..

[비회전도(Ns)]

비회전도(Ns)​개요비교회전도(Ns)란 각 치수가 다른 회전날개가 유량을 일정한 높이만큼 끌어올리는데 필요한 회전수,양정,효율등의 관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적절한 회전수를 결정할때 사용되는 식이다. 비교회전도는 펌프의 가장 효율적이고 적합한 회전수를 산정하는데 의미가 있어 기준범위내에 단수로 선정해야한다. ​​2. 비교회전도 식비교회전도Ns : 비교회전도 N : 펌프의 회전수(rpm)Q : 토출량 (M3/min)H : 전양정 (m)​​3. 비교회전도와의 관계 1)비회전도Ns가 작을수록 유량은 적고 양정은 높다. 소요양정 20m 이상의 도수,취수용에 적합(원심펌프, 왕복식 펌프)2)비교회전도Ns가 클수록 유량은 많고 양정은 적다. 소요양정 10m 이하의 도수용, 취수용에 적합(축류식, 사류식 펌프)3) 비..

[LI(Langelier Index)]

LI(Langelier Index)​개요LI(Langelier Index)란 물의 부식성 판별지수로 물속의 CaCO3용해, 석출 여부를 예측하여 부식성을 판단하는지표이다. 탄산칼슘이 수돗물에서 불포화 상태로 있으면 금속의 부식이 촉진된다. LI는 물의 수소이온농도와 알칼리도 및 포화 pHs 관계로부터 관 표면에 탄산칼슘이 얇은 막으로 침전되어 스케일을 형성할것인지를 예측할수 있는 지수이다. LI값이 0이하면 배관에 대해 부식성이 있음을 뜻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LI 지수에 대해 1.5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계산식LI = pHa - pHsCa2+ + HCO3- → CaCO3(s) + H+- pHa : 실제 수돗물에서 측정된 pH- pHs : 칼슘이온 농도나 혹은 알칼리도 값에서 탄산칼슘(CaCO3)..

[관정부식(Crown Corrosion)]

관정부식(Crown Corrosion)​개요 관정부식(Crown Corrosion)이란 배관내 하폐수의 용존산소(DO)가 모두 소모되면 혐기성조건에서 하폐수내에 존재하는 황산염 이온이 화안염 환원 미생물에 의해 황화물로 환원되고 황화수소(H2S)의 형태로 공기중에 유출되면서 호기성에서 황산으로 변환면서 관거 내부를 부식시키되는데 이것을 관정부식이라고 한다. 부식의 종류에는 화학적부식, 생물학적 부식, 콘크리트 자체의 부식등으로 분류되며 관정부식에 의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부식을 방지할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한다. ​ 관정부식​2. 부식의 종류 1) 화학적 부식 : 산,알칼리 성분의 하폐수 유입으로 인한 부식 발생 2) 생물학적 부식 : 배관내 하폐수의 DO 고갈로인한 혐기성 조건에서 H2S 발생 및..

[혐기성 소화]

[혐기성 소화]​혐기성소화 기출 유형 1. 슬러지 안정화 목적, 호기성소화와 혐기성소화 개요 및 장단점2. 혐기성처리 조건, 유기물의 혐기성 분해과정과 단계, 혐기성처리 장단점3. 혐기성 소화조 효율 저하의 원인 및 개선방안4. 혐기성소화 처리시설 설계시 고려사항  키워드혐기성 소화 3단계가수분해, 율속단계해양배출금지 런던협약슬러지 감량화에너지자립화  Tip슬러지 직매립 금지 > 하수슬러지 해양배출 금지(런던협약) > 슬러지 감량화 필요 >혐기성 소화를 통한 슬러지 감량화 및 메탄회수로 에너지자립화 가능○개​요 1) 2010년부터 10,000m3/d 이상의 하수처리장 슬러지 직매립 금지(단 함수율 75%이하 제외)2) 음폐수, 가축분뇨(2012~),하수슬러지(2015~) 해양배출금지(런던협약)에 따라 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