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출문제 분석
기술사 준비를 하려 여러 정보를 찾아보던중 가장 많이 보였던 글중에 하나가 바로 " 기술사는 기사처럼 공부하면 무조건 떨어진다" 이거였다.
처음엔 무슨 소리인가 했더니 기술사 기출문제를 뒤적뒤적 찾아보니 금새 감이 잡힌다.
○기사 문제의 경우
예시문제 - 000이란 수중에 존재하는 유기물의 주된 구성 물질인 탄소량을 말한다.
이것을 측정 하려면 전탄연소로(950℃)와 탄산염분해로(150℃)에 일정 검수를 기기에 주입한 후 연소시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적외선 가스 분석계로 각각 농도를 검출해 전탄소 및 무기탄소량을 측정한다. 양자의 차에서 전유기 탄소를 구한다.
이것은 무엇인가?
답 : TOC
- 기사의 경우 지문이 주어지고 해당되는 답을 쓰면된다.
다음 기술사 문제의 경우
예시문제 - TOC
답 :
- TOC의 개요
TOC란 총유기탄소량으로 유기물을 고온 (950도)에서 산화시켜 발생되는 CO2의 발생량을 적외선 분석기로 측정하여 나타낸 유기물량 TOC는 DOC와 POC로 구분된다.
수계내에서 POC는 대부분 침강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DOC가 더 중요한 환경학적 의미를 갖는다.
2. TOC의 활용
소독부산물질 제어
1) 원수 중 유기물질을 제거하면 THMs의 생성량을 크게 줄일수 있다.
2)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소독부산물에 대한 종류와 농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공정설계 및 운영지표로서 소독부산물에 대한 종류와 농도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공정설계 및 운영지표로서 소독부산물의 전구물질이 될 수 있는 TOC 처리효율 향상을 목표로 삼는다.
3) GAC의 운영지표
(1) TOC는 GAC의 운영지표 중 하나로 GAC 재생결정 시 기준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2)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TOC가 입상활성탄의 Micro pore를 폐색시켜 흡착능력을 저하시킨다.
(3) 운영기간이 경과할수록 비표면적이 감소하여 TOC 제거율도 감소
3. TOC의 장단점
장점
1) 측정이 대단히 빠르게 때문에 편리
2) TOC는 COD나 BOD의 값과 상관 지을 수 있다.
3) 탄소분석에 요구되는 시간이 몇분정도로 짧기 때문에 이러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처리장의 효율적 계측이 가능하다.
단점
1) 측정된 TOC는 실제치보다 약간 작은 경향이 있다.
2) TOC 분석의 가장 큰 오차원인은 주입시료 속에 포함된 고형물이다 즉, 주입되는 시료의 양이 대단히 적기 때문에 큰 유기입자의 존재 유무는 측정치에 상당한 오차를 발생시킨다.
4. 다른 유기물질과의 관계
1) COD/TOC비는 산소에 대한 탄소의 몰비 (32/12=2.66)에 접근하게 되나 여러 가지 유기물의 화학적 산화성 차이로 COD/TOC비는 넓은 범위에서 변동한다.
2) 도시하수 유입의 경우 : COD/TOC = 3.1 ~ 4.6
BOD/TOC = 1.2 ~1.6
ThOD > TOD > COD > BODu > BOD5 >TOC
이렇듯 기술사의 경우 기사와 반대로 지문이 짧고 그에 대한 답변이 길게 나열되는 형태인데 각 교시에 따라
짧게는 1페이지 ~ 길게는 4페이지까지 답안을 작성해야하는 서술형 시험이다.
이러다보니 단답형으로 외워서 볼수 있는 기사시험과 달리 기술사는 외워서만은 시험을 붙을수가 없다는것이다.
한문제당 평균 3페이지라고 잡았을경우 중복문제 제외하고 버릴문제 빼고 300문제정도 정리한다고 했을때
외워야할 분량을 생각하면 막막하다
이것도 단순히 외운다고 끝이 아니고 외운것을 가지고 본 시험에서 응용하여 문제를 풀어야 하므로 단순 외워서 볼수 있는 시험은 아니다.
그래도 어쨋든 붙는 사람이 있고 붙으라고 만든 시험이니 붙을 방법을 찾으면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출문제로 공부의 방향을 잡아가게 되는데 본인도 기출문제 분석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 기출 10년치 분석

기출문제 10년치를 엑셀에 옮겨적어 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어느 파트가 빈출인지 아닌지 파악하는 과정으로 정리를 끝내고 나니 대략 파악이 되었다.
대분류-중분류-소분류로 정리후 공부하는것도 좋을것 같다.
예시
대분류 - 공법
중분류 - A/O, A2/O, MLE, 바덴포, VIP등등
소분류 - A/O의 특징, 장단점, 비교표 등등
2. 키워드 분석

지난 10년간 가장 많이 출제된 키워드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윗 글에서 언급했듯이 기사와 달리 기술사의 경우 기출문제라 하여도 같은 키워드 내에서 재출제가 되는 느낌이지
기사 처럼 아예 지문까지 똑같은 문제로 재출제 되는 경우는 드물기에 키워드별로 정리하여 이에 대해 나올수 있는 문제를 대비해야 한다.
기출문제와 키워드 분석 자료를 기초로 빈출순서대로 답안작성 또는 서브노트를 만들어 나가가는등으로 공부를 해나갈 예정이다.
-예시
공법 → 하폐수처리 공법에는 뭐뭐가 있지? → A/O, A2/O, 바덴포, VIP, ANNAMOX 등등 → A/O는 어떻게 구성되어있는 공법이지 ? → 혐기조- 폭기조 - 침전조로 구성 → A/O공법은 언제 쓰이는거지? → 하폐수처리에서 P제거의 목적 → P를 어떻게 제거 하는거지? → 혐기조에서 인의 섭취 폭기조에서 인의 방출 → 어떤 미생물이 쓰이는거지? → PAOs → 이 미생물의 특징은 뭐지? 등등 으로 키워드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고 기출문제에 맞춰 보충할것은 보충하고 버릴것은 버리는 과정을 반복하여 점점 완성도있는 답안과 내 머릿속에 넣는 작업을 해야할듯함. 끝.
1. 공부에 도움되는 사이트 모음집
https://blog.naver.com/ecosat/222211359711 ○지구지킴이 블로그 - 수질관리기술사가 운영하는 블로그로...
blog.naver.com
'기술사 정보 > 기술사 공부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사 공부방법] 서브노트 (0) | 2024.10.23 |
---|---|
[기술사 공부방법] 꾸준한 반복 (1) | 2024.10.23 |
[기술사 공부방법] 탐색전 (1) | 2024.10.23 |
[기술사 공부방법] 공부시간,체력관리 (6) | 2024.10.23 |
[기술사 공부방법] 동기부여 (5)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