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수능 측정 (CST) 목적 및 방법
- 개요
탈수능 측정(CST)란 Capillary Suction Time으로 슬러지 탈수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값이 클수록 탈수성이 나쁨을 뜻하며 CST 장치를 이용하여 구하며 비저항값과 상관성이 있다.

2. 목적
1) 슬러지의 여과능력, 탈수능력, 약품종류, 주입량등을 결정할수 있는 실험으로 탈수 cake 함수율, 개량 후 슬러지의 점도, 탁도 등을 측정하여 탈수 효율을 평가할수 있어 탈수기의 설계나 유지관리를 위함
3. 측정 원리
1) CST는 비저항값을 근사적으로 표현하는 실험이다.
2) 슬러지 내의 수분이 여과지 1cm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3) 장치구성은 직경 1cm, 높이 약 4cm인 슬러지 시료통 아래에 여과지를 두고 2개의 전극, 타이머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여과액이 첫 전극을 도달하며 타이머가 작동하고 두번째 전극에 도달하면 타이머가 작동을 멈추어 측정한다.
5) 두 전극사이의 거리인 1cm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CST라고 한다.
4. 측정 방법
1) 모세관 인력에 의해 슬러지로부터 액체를 끌어들이는 여과지 위에 놓인 실린더에 슬러지를 주입하여 이 용액이 1cm를 흐르는 시간을 측정하여 기록(probe가 부착된 timer 장치 사용)
2) CST는 슬러지 여액이 모세관 흡입현상으로 흘러 나와 1cm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의되며,시간이 짧을수록 탈수가 잘되는것을 의미한다.
3) CST값은 여러번 측정하여 평균값 사용,실 험의 일관성을 위해 시료의 부피는 일정하게 유지
4) 비약품 첨가 슬러지의 CST는 200초 이상이나, 약품 첨가 슬러지의 CST는 10초 미만으로 짧음
'슬러지 > 슬러지 탈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러지 안정화] (0) | 2024.10.19 |
---|---|
[슬러지 처리·처분 방식] (0) | 2024.10.19 |
[슬러지 탈수] (0) | 2024.10.19 |